공부2 재테크 공부의 의미? (FIRE족) 유튜브(슈카월드님) 방송을 보다가 번쩍하고 느낀 바가 있어서 글을써봐요. FIRE에 성공한 선배가 들려준 이야기래요. 투자의 세계에는 고수, 중수, 하수가 있다. 1. 많이 알고 많이 버는 사람을 중수, 2. 많이 알고 적게 버는 사람을 하수, 3. 아는 게 없어도 많이 버는 사람을 고수라고 한다. 라이나생명 나는 어디쯤 있을까..? 저는 자산관리분야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재테크 관심도나 지식의 관점에서 동년배의 10% 안에는 들 것이라고 생각해요. 우물 안 관점일 수 있겠지만, 20대 때 그리고 30대가 된 지금까지도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공부를 하는사람을 본 적이 딱히 없었어요. 수익을 얼마냐 내느냐는 관점에서는 어느정도 만족스런 수익을 내고있어요. 그렇.. 2020. 2. 18. 처음부터 다시 주식 분석을 시작해보자! 대학교. 08학번의 나. 그러니까 약 10년 전 소형주를 쫙 펼쳐놓고 공부했던 적이 있었다. 열정도 체력도 시간도 많을 때였다. 많아봐야 과외비 백 내외 받는것이 수입이 전부였던 당시였기에, 높은 수익률을 바라고 그렇게 했던 것 같다. 입문자의 행운으로 수익률은 나쁘지 않았다. 리먼 사태 터지고 100%이상의 수익도 여러번 얻었었다. 하지만, 주식에 대해 알아가고 공부할수록 겁이 많아졌고, 소형주에서 점점 멀어져갔다. 소형주의 변동성으로 인한 긴장감, 공부의 노력, 시간 투자가 싫었던 탓이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유튜브 채널들을 보면서 영감을 받았고 다시 주식 분석, 공부를 시작하고자 한다. 모토는 "리스크를 가져가는 힘투자"이다. 현재 주요 투자원칙인 "트렌드를 따르는 가.. 2020. 1. 19. 이전 1 다음